이동통신 대학원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이동통신 대학원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
    • AI (3)
    • 이동통신(LTE/5G) (2)
    • 반도체 설계 (1)

검색 레이어

이동통신 대학원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반도체학과에서 배우는 것 : 논리회로를 배우는 이유, 시스템 반도체와의 연관성 및 반도체 설계의 기초를 좀 더 흥미롭게 공부하는 방법

    2022.07.31 by 현민 

  • 디지털 통신에서 OFDM까지:Subcarrier spacing Δf = 15kHz의 의미

    2022.02.20 by 현민 

  • UCT(Upper Confidence Boundary of Tree)에 대한 정확한 정리

    2021.09.27 by 현민 

  • Poisson Point Process(PPP)란? 실제 Code로 직접 배우는 PPP

    2021.09.07 by 현민 

  • 몬테카를로 트리 서치 (Monte Carlo Tree Search)에 대한 정확한 정리

    2021.09.07 by 현민 

  • Dynamic Programming은 강화학습인가? 강화학습과 Model-based / Model-free

    2021.09.07 by 현민 

반도체학과에서 배우는 것 : 논리회로를 배우는 이유, 시스템 반도체와의 연관성 및 반도체 설계의 기초를 좀 더 흥미롭게 공부하는 방법

※ 해당 포스팅 내용에 관심있으신 대학생 분들, 고등학생 분들의 메일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저도 사실 본 전공은 반도체 설계가 아닌 이동통신이라 지식이 많이 부족하지만, yhm1620@khu.ac.kr로 메일주시면 언제든 제 지식을 공유해드릴게요 :) ----------------------------------------------------------------------------------------------------------------------------------------------------------------- 지금은 석사과정으로 이동통신을 전공하고 있지만, 사실 학부 과정때는 반도체 설계에 흥미를 갖고 공부했었습니다. 그래서 요즘 반도체학과 신설 관련 기사들을 보면, 반도체 설..

반도체 설계 2022. 7. 31. 17:08

디지털 통신에서 OFDM까지:Subcarrier spacing Δf = 15kHz의 의미

LTE부터 5G에 이르기까지, 변조 방식으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학부 디지털 통신 과목에서는 OFDM을 자세히 다루지는 않고, 보통 최신 기술로 소개되는 정도로 다루어지는데요. 디지털 통신과 OFDM까지의 흐름을 자세히 다룬 책이나 문헌을 찾기가 쉽지 않아, 그동안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큰 그림부터 잡고 갈게요. 우선 이 포스팅의 목적은 'LTE에서의 OFDM subcarrier spacing Δf는 15KHz이다.' 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아주 자세하게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 말을 이해하는 데는 정말 많은 통신의 기초 지식이 필요한데요. 학부를 막 졸업했을 때는 이 많은 지식들이..

이동통신(LTE/5G) 2022. 2. 20. 14:39

UCT(Upper Confidence Boundary of Tree)에 대한 정확한 정리

이전 포스팅 '몬테카를로 트리 서치 (Monte Carlo Tree Search)에 대한 정확한 정리'에서 tree policy를 다루었습니다. Tree policy는 선택(Selection) 단계에서 확장(Expansion)을 이어나갈 child node를 선택할 때 사용하는 정책이며, 알파고의 경우 이용(exploitation)과 탐사(exploration)의 균형을 맞추어 이용-탐사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tree policy로 UCT(Upper Confidence Boundary of Tree)가 사용되었고, UCT는 UCB1(Upper Confidence Boundary)이 tree에 사용되었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라는 것이 지난 포스팅의 내용이었습니다. 우선 아래 그림을 통해 UCB1을 이해해 ..

AI 2021. 9. 27. 13:56

Poisson Point Process(PPP)란? 실제 Code로 직접 배우는 PPP

※해당 포스팅은 제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gusals1620/222491996445 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G 시대에 접어듦에 따라 스몰셀(Small Cell)들이 많이 배치되어 밀도가 높아지는 UDN(Ultra Dense Network) 환경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고밀도로 셀이 배치되는 'Densification' 기술은 5G의 핵심 기술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Densitification의 성능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주변 셀들과의 관계를 잘 살펴보아야 하는데, 5G 이전에는 이 관계를 보기 위해 hexagonal grid 모양으로 셀을 디자인하고 이 구조에서 성능을 평가했습니다. 그런데 요즘 연구의 trend는 densification 즉 스몰셀들의..

이동통신(LTE/5G) 2021. 9. 7. 10:54

몬테카를로 트리 서치 (Monte Carlo Tree Search)에 대한 정확한 정리

※해당 포스팅은 제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gusals1620/222497438773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알파고를 통해 AI가 크게 화제가 되면서, 알파고에 사용된 몬테카를로 트리 서치 알고리즘도 화제가 되었습니다. 대학원 세미나를 준비하면서 많은 정보를 보았는데, 한글로 된 정보 중에는 깊은 내용을 다루고 있는 것은 없어서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무료 강의, 논문, 책을 통해 직접 조사를 거쳐 정리해보았습니다. 우선 몬테카를로 트리 서치(Monte Carlo Tree Search, 이하 MCTS)는 MDP(Markov Decision Process)를 해결하는 방법의 한 종류입니다. 알파고 덕분에 강화학습이 유명해져서, "강화학습은 MDP를 푸는 방법이다"..

AI 2021. 9. 7. 10:45

Dynamic Programming은 강화학습인가? 강화학습과 Model-based / Model-free

※해당 포스팅은 제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gusals1620/222488077108 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강화학습을 처음 공부할 때 Dynamic programming, TD method 등 다양한 방법론들을 배웠습니다. 처음에는 Dynamic Programming도 강화 학습의 한 종류인 것처럼 배웠는데요. 대학원에서 연구를 하며 강화학습에 대해 깊이 공부할 수록, Dynamic Programming은 과연 강화학습의 인가? 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흔히 강화학습은 시간 순서에 따라 정의되는 문제인 Markov Decision Process(MDP)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method)이라고 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강화학습은 MDP를 해결하기 위한 method들..

AI 2021. 9. 7. 10:4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이동통신 대학원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